CDMO 대형주들이 2025년 3분기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면서 업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요.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팜 등 주요 기업들이 수주 확대와 원가율 개선, 신약 파이프라인 성장 등 긍정적 신호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적이 구조 변화를 알리다
2025년 3분기 국내 CDMO 대형사들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산업 구조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어요. 셀트리온은 영업이익 3,010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누적 수주액 5조 5,193억원을 달성했고, SK바이오팜도 신약 매출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실적 개선은 단순한 일시적 호황이 아니라 원가율 개선, 고마진 신제품 확대, 글로벌 수주 파이프라인 확충 등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돼요.
특히 셀트리온의 매출원가율이 39%로 낮아지고, 고수익 신제품 비중이 54%까지 확대된 점은 수익성 개선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도 5공장 가동과 글로벌 규제기관 승인 확대 등으로 생산능력과 품질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고 있어요.
신약이 수주를 끌어올리다
CDMO 대형주 실적 랠리의 긍정적 시나리오는 글로벌 신약 파이프라인 확대와 수주 증가, 원가 구조 정상화, 환차익, 고마진 신제품 효과 등 다섯 가지 요인에 기반해요. FDA 승인 대기 신약이 사상 최고 수준이고, GLP-1 계열 비만치료제, 항체 치료제 등 고난도 신약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상위 제약사 20곳 중 17곳을 고객으로 확보했고,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적응증 확대와 해외 진출로 성장 동력을 넓히고 있어요.
또한 셀트리온의 원가율 개선과 고마진 신제품 확대, 환율 변동에 따른 환차익, 신규 시장 진출 등도 실적 랠리의 지속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원가와 규제가 발목 잡다
반면, 실적 랠리의 지속을 위협하는 구조적 리스크도 동시에 존재해요. 첫째, 2026년 상반기부터 원료약 가격이 재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원가율 개선 흐름이 반전될 수 있습니다. 둘째, FDA의 CGMP 감시 강화와 품질 기준 상향으로 추가 설비 투자와 품질 관리 비용이 늘어나 영업이익률이 압박받을 수 있어요.
셋째, 중국 CDMO 업체들의 원가 경쟁력과 글로벌 규제기관 승인 확대가 국내 대형주와의 가격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넷째, 고성장주의 밸류에이션 조정 위험과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신약 개발 투자 감소, 고정비 증가에 따른 채산성 악화 등도 중장기 리스크로 꼽혀요.
기업마다 다른 성장 동력
셀트리온은 고마진 신제품 확대와 원가율 개선, 합병 후유증 해소 등 구조적 개선이 진행 중이에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대형 수주 기반과 생산능력 확대로 매출 안정성이 높지만, 신설 공장 가동률과 수익성, 중국과의 가격 경쟁이 변수로 남아 있습니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고성장에 힘입어 실적이 크게 개선됐지만, 단일 제품 의존도와 신약 성장 지속성이 리스크로 작용해요.
투자 전략의 핵심 변수는 FDA 승인 파이프라인 실행 속도, 원료약 원가 추이, 중국 CDMO 시장 점유율, 미국·유럽 거시경제 지표 등입니다. 2026년 상반기까지는 긍정적 시나리오가 우세하지만, 하반기부터는 피크아웃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어요.
결론
2025년 3분기 CDMO 대형주들의 실적은 단순한 숫자 개선을 넘어 업계 전반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어요. 셀트리온의 원가율 39% 달성, 삼성바이오로직스의 5조원대 수주, SK바이오팜의 신약 성장 등은 각 기업이 찾은 성장 경로를 보여줍니다. 글로벌 신약 개발 붐과 맞물려 2026년 상반기까지는 이런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요.
하지만 원료약 가격 재상승, FDA 규제 강화, 중국 업체와의 경쟁 심화 같은 변수들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결국 각 기업의 2026년 상반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넘어서는지, 원가율이 40% 아래로 유지되는지, 신규 수주가 얼마나 늘어나는지를 보면 랠리의 지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거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