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고급 리튬이온 배터리와 핵심 소재에 대한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하면서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 큰 파장이 일고 있어요. 한국 2차전지주들이 단기 반등세를 보이고 있지만, 공급망 리스크와 미중 협상 결과가 향후 흐름을 좌우할 전망이에요.
중국이 배터리 수출을 막아요
중국 정부가 2025년 10월 9일 발표한 배터리 수출통제는 에너지 밀도 300WH/KG 이상의 고급 리튬이온 배터리, 양극재·음극재 등 핵심 소재, 그리고 생산 장비까지 포괄해요. 이 조치는 미국의 반도체 수출통제에 대응하는 전략적 무기로, 중국이 배터리 공급망에서 절대적 우위를 활용하려는 의도가 명확해요.
블룸버그NEF에 따르면 중국은 전 세계 음극재 생산의 96%, 양극재의 85%를 차지하고 있어, 이번 조치가 글로벌 배터리 산업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요. 중국 정부는 허가제라는 점을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특정 국가나 기업을 대상으로 선택적 통제가 가능해져 실질적인 무기화가 우려돼요.
미국과 한국 모두 타격받아요
미국은 리튬이온 배터리 수입의 65%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고, ESS 시장에서 중국산 배터리 비중이 매우 높아요. 미국 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미국 배터리 제조법(OBBBA) 등으로 자국 내 생산을 확대하려 하지만, 핵심 소재와 장비까지 중국에 의존하는 구조라 단기적으로는 공급망 충격이 불가피해요.
실제로 플루언스 에너지와 테슬라 등 미국 배터리·ESS 기업 주가가 수출통제 발표 직후 급락했어요. 한국 역시 2차전지 원료의 94~98%를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어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3사는 미국 현지 생산 확대와 AMPC 세액공제 활용으로 단기 경쟁력을 확보하려 하지만, 핵심 소재의 중국 의존도가 높아 구조적 리스크가 상존해요.
2차전지주가 반등했어요
중국의 수출통제 발표 이후 한국 2차전지주들은 단기적으로 반등세를 보였어요. LG에너지솔루션은 3분기 ESS 사업 호조로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고, 포스코퓨처엠은 흑연광산 개발 등으로 대체 공급망 확보 기대감이 반영돼 주가가 상승했어요.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등 양극재 기업들도 주목받았어요. 하지만 전문가들은 단기 수급 쏠림과 기대감이 실제 실적으로 이어질지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이에요. 핵심 소재의 중국 의존도가 높고, 미중 무역 협상 결과에 따라 규제 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미중 협상이 변수예요
중국의 수출통제가 실제로 얼마나 강하게 집행될지는 미중 무역 협상에 달려 있어요.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양국은 강경한 입장과 협상 여지를 동시에 남기고 있어요.
트럼프 대통령은 100% 추가 관세를 예고했지만, 협상 여지를 남겼고, 중국도 허가제와 면제 조치 가능성을 언급했어요. 협상 결과에 따라 중국의 수출통제가 느슨하게 운영될 수도 있고, 반대로 강하게 집행될 경우 글로벌 공급망 혼란이 심화될 수 있어요. 한국 2차전지주 랠리의 지속 여부는 이 변수에 크게 좌우될 전망이에요.
결론
중국의 배터리 수출통제로 한국 2차전지주들이 단기 반등세를 보이고 있어요. 하지만 핵심 소재의 중국 의존도가 94~98%에 달하고, 미중 협상 결과에 따라 규제 강도가 달라질 수 있어 불확실성이 커요. 실제로 미국 배터리 기업들은 이미 주가가 급락했고, 한국 기업들도 공급망 리스크에서 자유롭지 못해요.
앞으로 미중 정상회담 결과와 중국의 실제 수출통제 집행 수준을 보면 2차전지주 흐름을 판단할 수 있어요. 특히 중국이 허가제를 얼마나 엄격하게 운영하는지, 한국 기업들이 대체 공급망을 얼마나 빨리 확보하는지가 핵심 관찰 포인트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