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가 2026년부터 철강 수입 쿼터를 대폭 줄이고, 쿼터 초과분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어요.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업계는 이미 미국의 50% 관세 부담에 이어, EU까지 관세가 인상되면 연 1조원 이상의 추가 비용을 떠안게 돼요.
EU·미국이 동시에 압박하다
EU는 2026년부터 철강 수입 쿼터를 47% 줄이고, 초과분에 50%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에요. 이미 2025년부터 미국이 50% 관세를 적용하면서,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은 연 1조원 이상의 관세 부담을 안게 됐어요. 두 시장 모두에서 가격 경쟁력이 급격히 약화되며, 수익성 악화와 주가 하락 압력이 동시에 커지고 있어요.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미국과 EU 수출이 전체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해요. 관세 부담이 커지면 영업이익이 급감하고, 수출 물량 감소로 실적이 추가로 악화될 수밖에 없어요.
반덤핑으로 버티기엔 역부족
정부는 중국·일본산 저가 철강 유입을 막기 위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고 있어요. 열연·후판 등 일부 제품 가격이 상승하고, 판재류 수익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요.
하지만 내수 시장이 제한적이고, 글로벌 수출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 약화는 반덤핑 관세만으로는 상쇄하기 어려워요. 고부가가치 제품 전환도 단기간에 실적 반등을 이끌기엔 한계가 있어요.
시장 다변화도 막막하다
한국 철강업계는 미국 관세 이후 EU 시장으로 수출을 늘리려 했지만, EU마저 관세 장벽을 높이면서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어요. 신흥시장 개척도 캐나다, 인도, 터키, 멕시코 등 주요국이 잇따라 보호무역 조치를 강화해 쉽지 않은 상황이에요.
미국처럼 현지 공장 설립을 통한 관세 우회도 EU에서는 인건비, 전기료, 환경 규제 등으로 현실적 어려움이 커요. 결국 글로벌 보호무역 확산이 한국 철강업계의 시장 다변화 전략을 제약하고 있어요.
수소환원제철은 아직 멀었다
정부는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과 수소환원제철 등 저탄소·고부가가치 전환 투자를 추진하고 있어요. 포스코와 현대제철도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과 전기로 전환에 나서고 있어요.
하지만 수소환원제철 상용화까지는 최소 5~10년이 걸리고, 초기 투자와 인프라 구축이 필요해요. 단기적으로는 관세 충격을 완전히 상쇄하기 어렵고, 중장기적으로만 경쟁력 강화 효과가 기대돼요.
결론
EU와 미국의 동시 관세 인상으로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한국 철강업계는 수익성 악화와 주가 하락 압력에 직면해 있어요. 정부의 반덤핑 관세와 고부가가치 전략이 일부 완충 효과를 내고 있지만, 단기적 반등을 이끌기엔 한계가 분명해요.
실질적 반등을 위해서는 EU와의 쿼터 협상, 미국과의 관세 협상 등 외교적 돌파구 마련이 핵심이에요. 수소환원제철 기술이 상용화되고,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이 늘어나는 시점이 되어야 철강업계가 진짜 변화를 맞이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