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의 12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시장의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어요. 파월 의장과 연준 위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크게 엇갈리며, 시장은 12월 인하 확률을 60% 이상으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연준 내부가 갈라지다
연준 내부에서는 금리 인하를 두고 의견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어요. 미란 이사는 경기 둔화에 대응해 0.5%P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머살렘 총재 등 매파는 물가와 자산 가격을 근거로 추가 인하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파월 의장은 12월 인하가 확정된 것이 아니라고 밝혀 정책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어요.
이런 내부 분열은 시장의 정책 신뢰성을 약화시키고, 자산 가격에 불확실성 프리미엄이 반영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어요. 정책 일관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은 단기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야 하는 상황이에요.
금리 인하 기대에도 달러가 강세다
CME FEDWATCH에 따르면 12월 금리 인하 확률이 60%를 넘지만, 달러는 오히려 강세를 보이고 있어요. 이는 미국 경제의 회복력, 정부 셧다운 종료 기대, 신흥국의 구조적 약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전통적으로 금리 인하가 달러 약세로 이어진다는 공식이 이번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어요.
이런 괴리는 신흥국 통화와 자산의 회복 가능성을 제한하고, 미국 자산에 대한 선호가 유지되는 배경이 되고 있어요. 시장은 단기 금리 인하보다는 구조적 요인에 더 주목하고 있습니다.
기술주 반등, 얼마나 갈까
금리 인하가 실제로 단행된다면 기술주와 신흥국 자산이 단기적으로 반등할 수 있어요. 특히 나스닥, 매그니피센트 세븐, AI 관련주 등은 할인율 하락에 따라 밸류에이션이 재평가될 수 있습니다. 신흥국 자산도 달러 약세 전환 시 일시적 반등이 기대돼요.
하지만 이미 높은 밸류에이션, AI 상용화 지연, 신흥국의 정치·경제 불확실성 등 구조적 제약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어요. 단기 랠리가 나타나더라도 지속적인 상승으로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우세해요.
인플레이션이 랠리를 막는다
미국의 근원 PCE가 3% 안팎으로 목표치를 상회하고 있고, 정부 셧다운 종료와 연말 소비 시즌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수 있어요.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정부 재정 불확실성, 연준 내부 분열 등 정책 변수도 시장의 랠리 지속을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금리 인하가 단기 기대감에 그칠 가능성이 높고, 실질적인 펀더멘털 개선이 동반되지 않으면 자산 가격은 조정 압력을 받을 수 있어요.
결론
연준의 12월 금리 인하가 실제로 이뤄져도 연말 랠리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아요. 이미 금리 인하 기대감이 자산 가격에 상당 부분 반영됐고, 달러 강세와 인플레이션 압력, 정책 불확실성이 시장을 짓누르고 있어요. 기술주와 신흥국 자산이 단기 반등할 수는 있지만, 지속적인 상승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워 보여요.
앞으로 연준 내부의 의견 통합 여부, 인플레이션 지표 변화, 정부 재정 정책의 방향이 시장의 향방을 가를 핵심 변수가 될 거예요. 특히 12월 FOMC 회의에서 나올 경제 전망과 점도표가 내년 시장의 기준점이 될 것으로 보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