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2호기 계속운전 보류 결정이 두산에너빌리티와 현대건설 등 원전 관련 기업들의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에요.
왜 고리2호기를 멈췄나
고리2호기 계속운전 보류는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에요. 이재명 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 정책과 노후 원전 안전성 우려가 맞물린 결과예요.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사고관리계획서 보완 필요성,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 수치 논란, 중대사고 대응 체계 문제 등을 보류 이유로 들었어요.
이번 결정은 향후 5년 내 수명이 끝나는 10기 원전의 운명을 좌우할 선례가 될 수 있어요. 단일 발전소를 넘어 국내 원전 정책의 방향을 가늠하는 시금석이 되고 있어요.
해체 시장이 열린다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은 2040년경 50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에요. 국내에서도 고리1호기 해체가 본격화되면서 해체 산업 생태계가 빠르게 형성되고 있어요.
현대건설은 미국 홀텍과의 협력, 고리1호기 해체 경험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키우고 있어요. 고리2호기 해체가 결정되면 대규모 해체 수주와 기술 축적 기회를 얻을 수 있어요. 두산에너빌리티 등 원전 기자재 업체들도 해체 장비와 기술 서비스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있어요.
재가동하면 누가 이득 보나
고리2호기가 다시 돌아가면 두산에너빌리티가 가장 먼저 수혜를 봐요. 42년 된 노후 원전 재가동에는 대규모 설비 업그레이드가 필수라 수백억 원 규모 사업이 발생해요. 정비, 부품 교체, 안전 설비 보강 등에서 직접적인 수주 기회가 생기죠.
만약 고리2호기 재가동이 향후 10기 원전 수명연장의 선례가 되면, 기자재 업체들의 지속적인 수주가 이어질 수 있어요. 반대로 해체가 결정되면 단기 정비 수요는 사라지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해체 시장이라는 새로운 기회가 열려요.
경제성이 발목 잡는다
고리2호기 재가동의 경제성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어요. 낮은 이용률, 높은 초기 투자비, 인근 신규 원전 가동, 재생에너지 확산이 모두 악재예요. 에너지경제연구원은 80개월 운영 시 118억원 손실을 예상했어요.
운영 기간이 짧아질수록 손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요. 여기에 안전성 논란과 지역 주민 반대까지 더해져 재가동 결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에요. 이재명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도 원전 기업들에게는 변수예요.
결론
고리2호기 계속운전 보류는 원전 관련 기업들에게 기회와 위기를 동시에 안겨줬어요. 재가동되면 두산에너빌리티 같은 기자재 업체가 단기 수주로 실적을 개선할 수 있지만, 경제성과 안전성 문제가 발목을 잡을 수 있어요.
해체로 가닥이 잡히면 당장의 정비 수주는 줄어들지만, 500조원 규모의 글로벌 해체 시장 진출 기회가 열려요. 앞으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최종 결정,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 전력 수요 변화를 지켜보면 원전 기업들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