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은 여전히 상승세를 타고 있어요. 특히 마포와 성동 같은 인기 지역은 오름폭이 커지면서 투자 수요가 집중되고 있죠. 이런 상황에서 국토부가 직접 규제할 수 있는 권한을 추진하며 시장은 긴장하고 있어요.
토지거래허가구역의 강력한 규제 효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매수자는 곧바로 2년 동안 실거주해야 해요.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사실상 막히는 구조죠. 기존의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보다 훨씬 강력한 규제로 평가돼요.
시장에서는 집값 급등을 막는 가장 직접적인 장치로 보고 있어요. 단기 차익을 노리는 수요는 발붙이기 어렵고, 실수요자 중심 거래만 남는다는 점에서 효과가 확실히 드러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어요.
규제 1순위로 거론되는 지역들
최근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을 보면 마포는 0.20%, 성동은 0.12%로 오름폭이 확대되고 있어요. 성수 전략정비구역, 갤러리아포레와 트리마제 같은 한강변 고급 주상복합은 여전히 수요가 많아요. 현재는 규제의 사각지대에 있지만 국토부 직권이 발휘되면 가장 먼저 지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에요.
경기 과천도 빠지지 않아요. 강남의 대체재로 거래가 꾸준하고 가격 상승세도 지속돼 왔어요. 특히 입지가 강남권과 가깝고 브랜드 아파트가 많아 투자 수요가 집중되는 곳이라 규제 1순위로 거론되고 있죠.
투자자 입장에서 예상되는 흐름
단기적으로는 지정이 유력한 지역의 거래가 급감할 수밖에 없어요. 갭투자 수요가 차단되면서 매수세도 빠르게 위축될 거예요. 투자자들은 위험을 감지하고 당분간 움직임을 줄일 수밖에 없죠.
하지만 시장의 특성상 규제가 한쪽을 막으면 다른 쪽으로 풍선효과가 생겨요. 비강남권이나 2기 신도시, 동작과 광진, 위례 같은 인접 지역으로 투자 수요가 옮겨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와요. 이미 규제가 가득한 강남3구 대신 한강변의 다른 지역을 노리던 흐름이 이번 조치로 봉쇄되면 다시 새로운 대안을 찾으려 할 거예요.
정책 속도와 지정 범위가 변수
이번 변화에서 주목할 부분은 속도예요. 법안이 1~2개월 내 통과될 가능성이 높고, 지정 시점도 예상보다 빠를 수 있어요. 투자자 입장에서는 단기간 내 규제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해요.
또한 전 지역을 한 번에 묶을지, 특정 구역만 선별할지가 불확실해요. 일부 지역만 제한적으로 지정된다면 투자 흐름은 해당 구역 밖으로 확산될 수 있어요.
정치 일정도 변수예요. 총선을 앞두고 지방정부와의 조율이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규제 강도는 달라질 수 있어요.
결론과 앞으로의 시사점
국토부가 직접 규제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면 시장 대응은 지금보다 훨씬 빨라질 거예요. 이번 권한 확대는 지방자치단체 눈치를 보지 않고 중앙정부가 곧바로 움직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제도 변화예요.
투자자라면 마포와 성동, 과천은 단기 리스크가 확대됐다는 점을 주목해야 해요. 반대로 규제를 피한 수도권 인접 지역은 기회로 떠오를 수 있죠. 이제는 위험과 기회를 동시에 계산하는 전략이 필요해요. 오늘은 관심 있는 지역의 최근 시세를 검색해보고, 규제 후보지 여부를 함께 점검해 보는 게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