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지급여력비율(K-ICS) 권고기준이 24년 만에 150%에서 130%로 하향 조정됐습니다. 이로 인해 삼성생명, DB손보 등 주요 보험사의 자본 여력이 개선되며 배당 확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자본 규제 강화, 금리 변동성, 업종별 건전성 차이 등 여러 제약 요인도 동시에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번 정책 변화가 실제 배당 확대 흐름으로 이어질지, 주요 변수들을 분석해보겠습니다.
지급여력비율 하향이 보험사 배당 확대에 미치는 영향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하향은 자본 부담을 완화해 배당 확대 여력을 높입니다. K-ICS 하향 조정 이후 보험사 배당 정책 변화 분석에서 삼성생명, DB손보 등 대형사는 킥스비율이 154~201.5%로 안정적입니다.
이로 인해 삼성화재는 역대 최대 주당배당금을 결정했고, 메리츠화재도 중간배당을 실시하는 등 주주환원 정책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하향이 배당 확대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 긍정적입니다.
기본자본 규제 강화가 보험사 배당 확대에 미치는 제약
금융당국은 2025년 하반기부터 기본자본(TIER1) 킥스비율 규제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 기본자본 규제 강화가 보험사 배당 확대에 미치는 제약은 후순위채 등 보완자본 의존도를 제한해 실질적 건전성 관리체계를 강화하려는 목적입니다.
삼성생명 등은 TIER1 비중이 62%로 비교적 양호하지만, 현대해상 등 일부 보험사는 추가 자본 조달 압력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배당 확대가 단기적으로는 가능해도, 중장기적으로는 제약이 될 수 있습니다.
금리 변동성이 보험사 배당 정책에 미치는 영향
시장금리 변동은 보험사의 킥스비율과 배당 여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금리 변동성이 보험사 배당 정책에 미치는 영향은 2023년 금리 상승 시 킥스비율이 개선됐으나, 2025년 기준금리 인하 기조로 역효과가 우려됩니다.
현대해상은 금리 하락에 따른 기타포괄손실 확대로 배당 재개 불확실성을 드러냈고, 주가도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금리 환경 변화는 보험사 배당 확대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업종별 배당 확대 가능성 비교
생명보험사는 장기부채 비중이 높아 금리 변동성에 더 취약합니다.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업종별 배당 확대 가능성 비교에서 손해보험사는 단기성 상품 중심으로 현금유동성이 양호해 배당 확대에 유리합니다.
반면, 생명보험사는 IFRS17 도입으로 CSM 평가가 엄격해져 배당성향 상승에 제약이 있습니다. 업종별로 배당 확대 여력에 차이가 존재하며, 손해보험사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상황입니다.
결론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하향은 단기적으로 대형 보험사를 중심으로 배당 확대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삼성생명, DB손보 등은 자본 여력 개선과 주주환원 정책 강화로 긍정적 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자본 규제 강화, 금리 변동성, 업종별 건전성 차이 등은 중장기적으로 배당 확대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배당 확대 흐름은 단기적으로 기대되나, 구조적 리스크를 감안할 때 장기적 확대로 이어지긴 어렵습니다.